![](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42qu/btq3v7VKCtR/KezknjTpj9MapQ04WHMrx1/img.png)
진주대첩(5일 버팀) vs 2만(사상자 수 천) 행주대첩(12시간 버팀) vs 3만(사상자 천) 제2차 진주성 전투(9일 버팀) vs 10만(사상자 3만 8천) 제2차 진주성 전투(1593.6.22~6.29) 비변사가 아뢰기를, “삼가 권율의 장계를 보니 왜적이 온갖 방법으로 진주를 공격하고 있는데, 명군은 아직까지 달려가서 구원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왜적과 대진하고 있는 의원으로는 오직, 선거이, 이천, 홍계남 뿐으로 그 형세가 매우 외롭고 약하다고 합니다. 권율의 생각은 다만 요해처를 지켜 호남을 보전하고자 할 뿐, 군사를 보내어 진주를 구원할 의사가 없는 듯합니다. 진주를 구원하는 것이 바로 호남을 보전하는 길이니, 이런 뜻으로 급히 권율에게 하유하소서.” 하니, 상이 따랐다. 『선조실록 40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Fzdm4/btq3mNkSXRH/pU0bAYKOtC1dcCa2Y4GnK1/img.png)
한양을 포기하고 남쪽으로 내려온 일본군에게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린다. 진주성에서 당한 패전을 보복하기 위해 전병력을 동원해서 공략할 것. 진주목사의 목을 베어올 것. 그리고 진주성 내의 살아있는 모든 생명을 말살할 것. 그것이 사람이 아니라 짐승이라고 할지라도 『토요토이 히데요시의 공격명령서』 1차 진주성 전투(김시민의 진주대첩, 1592.10)의 설욕을 하고 싶어하는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이런 명령서를 다섯 번 보낸다. (아마도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김시민이 죽은 것을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남쪽으로 후퇴해 있는 일본군 장수들도 무리라는 생각을 했지만 본국에 가족들이 인질로 있기 때문에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을 거부할 수 없었다. 이때 명나라 군대는 순천, 남원, 대구까지 내려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gGwB/btq3mh0LRi6/IpVSK1D9FiBD04aRnSdfA1/img.png)
평양성을 빼앗기고 고니시 유키나가가 한양으로 후퇴하였고, 나머지 일본군도 한양으로 모여들어서 한양에는 5만이 넘는 일본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들은 더 이상 한양에 있을 수 없었다. 왜 그들은 한양을 포기하고 철수해야 했을까? 1. 군수 물자 및 보급품 부족 : 이미 이순신에 의해서 남해의 제해권이 장악되고 한양에 남아 있는 일본군은 군수품이나 보급품을 더 이상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2. 일본군의 막대한 병력 손실 : 여러 크고 작은 전투를 치루면서 일본군은 22만에서 12만 명으로 줄어들었다(10만 명이 사망한 것이다). 3. 장기전에 지치고 병든 일본군 4. 명군의 참전 : 명나라 해안을 노략질하면서 경험한 무능한 명나라 군사들이 아니라 요동과 절강성의 정예부대를 경험한 후에 일본군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RNh1/btq3njcsDyJ/TjZ7kQZKCotQYkBvivLoj1/img.png)
임진왜란은 토요토미 히데요시(1537~1598)의 죽음으로 끝난다. 그리고 이후 일본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들 토요토미 히데요리(1593~1615) 가문을 지키려고 했던 이시다 미쓰나리(1560~1600) 중심의 서군과 도쿠가와 이에야스(1543~1616) 중심의 동군의 맞붙는 세키가하라 전투(1600)가 일어난다. 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하고 에도 막부가 시작된다(1600~1868).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서군의 장수 세 명의 목을 날린다. 이때 목이 날아간 장수는 이시다 미쓰나리(1560~1600), 고니시 유키나가(1555~1600), 안코쿠지 에케이(1539~1600)로 모두 다 행주대첩에 참전했던 사람들이다. 이순신은 1592년에 총 4차례 출정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xK3K/btq3t3zaOoO/xaCReVKxDMqviYBiFAlWL0/img.png)
권율의 행주대첩은 임진왜란의 3대 대첩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순신의 한산도대첩(1592.7) 김시민의 진주대첩(1592.10) 권율의 행주대첩(1593.2) 권율은 늦은 나이(46세)에 문과로 과거에 합격하였고,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56세로 광주 목사였다. 용인전투에서 말도 안되는 패배를 당했지만 권율은 병력의 손실을 입지 않았다. 이후 황진과 이치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호남을 지켰고 관찰사로 승진하게 된다. 권율의 1만 병력이 한양을 향해 북상하다가 독산성에 주둔하였는데, 우키타 히데이에의 공격을 막아냈다. 이때 조명연합군이 평양성을 탈환했다(1593.1.9)는 소식을 듣고 조명연합군이 한양을 공격할 때 힘을 보태기 위해 한양으로 북상한다. 권율은 관악산 근처에 선거이(1550~1598)에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YhaU/btq3nUclDcW/R21D6UBJ8K56NFqqfJ8iZK/img.png)
권율이 진정 구국의 영웅인가? 최고의 무장인가? 선무1등공신의 자격이 있는가? 임진왜란 발발 이후부터 행주대첩의 승리까지 권율은 뛰어난 활약을 한다. 그런데 행주대첩 이후에 도원수가 된 이후에는 큰 전투를 기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래서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는 ‘어찌 저런 자가 도원수일까?’라는 언급도 있다. (원래 이순신의 인물평은 냉정하기로 유명하다. 이순신은 그러한 냉정함을 자신에게도 적용하였다.) 솔직히 권율은 뛰어난 무인은 아니었다. 그는 오히려 뛰어난 지휘관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는 집안이 금수저 집안이었다. 아버지인 권철(1503~1578)이 영의정이었으니 권율은 젊은 시절에 공부를 게을리하고, 술과 여색을 밝히고 여행다니는 거 좋아하는 한심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40세까지 백수임에도 불..
- Total
- Today
- Yesterday
- 고니시 유키나가
- 유비
- 유로 2020
- 왕좌의 게임
- 오세훈
- 홍준표
- 킹덤
- 코파 아메리카 2021
- 기레기
- 왕좌의 게임 시즌 2
- 이명박
- 구해줘
- 언론
- 스파르타쿠스 시즌 1
- 이재명
- 보이스
- 미드
- 고발 사주 의혹
- 이순신
- 윤석열
- 장각
- 조성은
- 왕좌의 게임 시즌 1
- 챔피언스리그
- 박지원
- 원균
- 박형준
- 스파르타쿠스
- 보이스 시즌 1
- 왕조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