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책략2 [근대16]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한반도 중립화론 [근대16]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한반도 중립화론 갑신정변의 실패로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은 일본으로 망명한다. 그리고 남아있던 홍영식은 청나라 군대에 의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이후 조선에서는 ‘개화’라는 말을 함부로 꺼내지 못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갑신정변이 일어나던 해인 1884년 5월, 러시아가 조선과 수교를 맺었다. 러시아의 팽창은 당시 세계가 두려워하는 수준이었다. 베이징조약(1860)으로 연해주를 청에게서 할양받은 러시아는 블라디보스토크(동방을 지배하다)라는 항구를 만들었다. 그런데 이곳은 겨울에는 얼어버리는 항구라서 ‘얼지 않는 항구’(부동항)을 갖기를 원하고 있었다. 러시아의 팽창을 막기 위해 청의 황쭌센이 『조선책략』을 썼고, 이후에 조선은 미국과 수교를 맺기도 했다(.. 2021. 6. 25. [근대11] 정한론과 개항 [근대11] 정한론과 개항 대원군 집권기(1863~1873)는 최익현의 상소로 끝나고 이후 민씨척족정권이 시작된다. 흥선대원군의 대외정책은 ‘통상수교거부정책’이었는데, 당시에 박규수 같은 인물은 ‘초기통상개화론자’였지만 대원군이 무서워서 찍소리도 못하고 있었다. 민씨척족정권이 들어서면서 개화론자들이 문호를 개방하자고 주장하기 시작하다가 1876년에 강화도조약으로 개항을 하게 된다. 일본은 1854년에 미국의 페리 제독의 함포외교로 개항을 하게 되었고, 1868년에 메이지 유신을 단행하면서 근대화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일본의 근대화의 시기에 집권했던 대원군은 조선의 근대화에 발목을 잡았다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전에는 쇼군이 정치를 주도하고 천황은 상징적인 존재였.. 2021. 6. 2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