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지윤의 지식Play] 소련을 붕괴시키고 미국 보수의 역사가 되다, 레이건 대통령 일대기! | 미국사, 냉전, 소련 해체, 신자유주의, 공산주의 많은 사람들이 현대 보수의 아버지 하면 미국의 40대 대통령인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을 떠올린다. 로널드 레이건은 배우 출신이었는데 사실 A급 배우는 아니고 B급 배우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Screen Actors' Guild’(미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 노동 조합)의 위원장을 지낼 만큼 사회적인 이슈라든지 배우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노력을 했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레이건과 그의 아내] 영부인인 낸시 레이건 여사도 배우 출신이었다. 1949년 레이건 대통령이 전미 배우 조합의 위원장을 지내고 있을 당시에 미국 전역에 ‘Red Scare’라..

[조선18-2] 연산군 (2) 패륜 여색을 밝히는 데에는 세계 어떤 폭군들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았다. 조선의 풀한포기까지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연산군은 ‘채홍사’라는 관리직을 만든다. 채홍사는 지방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아직 결혼하지 않은 인물이 좋은 처녀들을 연산군에게 데리고 오는 임무를 맡았다. 곧 조선의 여인들이 다 자기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연산군은 갑자사화 이후 1505년에 채홍사를 전국 각지에 보낸다. 채홍사들이 데리고 온 여인들은 ‘운평’이라고 한다. 이들은 음주가무와 잠자리 교육을 받다가 왕을 쾌락의 세계로 안내하면 ‘천과흥청’이라고 하고, 그냥 잠자리만 같이하면 ‘반과흥청’이라고 하고, 왕과의 잠자리를 대기하고 있으면 ‘지과흥청’이라고 했다. 한양에서 운평이 거의 1만 명 정도 음주..

[조선18-1] 연산군 (1) 제왕? 폭군? 연산군은 19세에 왕에 오른다(재위 1494~1506). 1498년에 김종직의 ‘조의제문’ 때문에 무오사화(사림들이 해를 입는다)가 일어난다. 이때 김종직은 부관참시 당하고 김종직의 제자였던 사람들이 유배가서 죽는다. 50명 정도 죽는데, 이것 때문에 연산군을 폭군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갑자사화(1504)가 일어날 때까지 10년 동안은 나름 괜찮은 정치를 했다. 야인인 여진족을 몰아내고,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비용사라는 관청을 설치해서 우리나라 병사들의 철제갑옷을 제작하기도 했다. 전국 각지에 암행어사를 파견하였고, 흉년에 조세를 감면해주기도 했으며 환곡제도도 시행했다. 도적 홍길동(1443~?)을 잡아들이기도 했다. 명나라에 사신을 보낼 때 몰래 비단기술을..

홍범도와 자유시참변 2015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행사를 참석했다. 당시 중국과 외교는 중요했기 때문에 잘한 일이었다. 개인적으로 중국은 동북공정을 생각하면 치가 떨린다. 중국은 외교적으로 경제적으로 통일을 위해서도 상당히 중요한 나라이다.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대통령이 위대한 독립운동가를 맞이하는 꼴을 보기 싫은가? 위대한 독립운동가가 78년만에 이땅에 돌아온 것이 그렇게도 못마땅한가? 홍범도가 사회주의자? 21세기 대한민국에서 공산주의 국가 만들자는 건 미친놈이다. 사회주의 사상은 사상적으로는 아름다웠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본주의와의 대결에서 패배한 사상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할 당시에는 독립운동의 방략의 차원으로 받아들였고, 독립운동의 상당수가 사회주의 사상을 ..

[조선17] 연산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연산군(재위 1494~1506)은 폭군의 대명사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갑자사화(1504) 이후에 폭압적인 정치를 자행한 것이다. 그는 폐비 윤씨(1455~1482)의 아들로 성종이 38세의 나이에 갑자기 죽으면서 왕위에 올랐다. 연산은 처음부터 쓰레기였나? 성종에게는 다른 왕비인 정현왕후(1462~1530)가 있었고, 정현왕후의 아들인 진성대군(훗날 중종, 재위 1506~1544)도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세자를 바꿀 수도 있었다. 조선의 왕들 중에서 배다른 형제가 왕위를 이어받은 경우가 몇 차례 있었다. 중종의 가계도를 보면 장경왕후의 아들 인종이 있었고, 문정왕후의 아들 명종이 있었는데 문정왕후가 인종을 핍박해서 인종이 8개월만에 죽고 바보 임..

[조선16] 훈구 vs 사림(Feat 이황 이이 비판?) 조선 전반기를 이해하려면 ‘훈구’와 ‘사림’을 이해해야 한다. 훈구 넓은 의미의 훈구 - 15세기 주도 세력 좁은 의미의 훈구 - 세조의 척신 훈구 15~16세기를 이끔 정도전, 조준, 권근 등 혁명파 사대부의 후예들 관학파(성균관, 집현전) 주례(주나라의 통치법)을 강조 사장(시와 문장 등 논술) 중앙집권 강화, 패도정치 성리학 이외의 사상을 수용, 과학기술문화 발전 자주적(단군제사) 사림 16세기부터 조선을 이끔 정몽주, 이색, 이숭인, 길재 등 온건파 사대부의 후예들 사학파(서원) 주자가례에 관심을 가짐 경학(유교 경전을 외우는 것), 소학(어린아이들 교육)에 관심을 가짐 향촌자치(향약 보급, 유향소 설치), 왕도정치 성리학 이외의 사상을 배..
- Total
- Today
- Yesterday
- 기레기
- 언론
- 왕좌의 게임
- 오세훈
- 왕조현
- 구해줘
- 왕좌의 게임 시즌 2
- 고발 사주 의혹
- 박지원
- 스파르타쿠스
- 장각
- 이재명
- 킹덤
- 홍준표
- 이명박
- 유로 2020
- 박형준
- 스파르타쿠스 시즌 1
- 이순신
- 왕좌의 게임 시즌 1
- 원균
- 보이스 시즌 1
- 챔피언스리그
- 코파 아메리카 2021
- 고니시 유키나가
- 유비
- 조성은
- 미드
- 윤석열
- 보이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