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왜란 시기 구분 1기 - 임진왜란 : 1592.4~1593.6 [부산성전투에서 제2차 진주성전투까지] 2기 - 휴전기 : 1593.6~1597.7 3기 - 정유재란 : 1597.7~1598.11 [칠천량해전에서 노량해전까지] 이순신 장군은 휴전기인 1593년 7월에 본영을 한산도로 옮긴다. (진주성이 일본의 손에 넘어간 후에 육지로 여수 본영이 공격당할 것이 우려되었나?) 난중일기에 보면 5월부터 이순신은 한산도에 있었다. 이순신은 진주성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다음과 같은 일기를 남겼다. 7월 2일. 맑다. 늦게 우수사(이억기)가 와서 보았다. 선전관은 오후에 돌아갔다. 날이 저물녘에 김득룡이 와서 진양(진주)이 함락되었다고 전하며 “황명보, 최경회, 서예원, 김천일, 이종인, 김준민이 죽었다”..

임진왜란은 토요토미 히데요시(1537~1598)의 죽음으로 끝난다. 그리고 이후 일본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들 토요토미 히데요리(1593~1615) 가문을 지키려고 했던 이시다 미쓰나리(1560~1600) 중심의 서군과 도쿠가와 이에야스(1543~1616) 중심의 동군의 맞붙는 세키가하라 전투(1600)가 일어난다. 이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하고 에도 막부가 시작된다(1600~1868).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서군의 장수 세 명의 목을 날린다. 이때 목이 날아간 장수는 이시다 미쓰나리(1560~1600), 고니시 유키나가(1555~1600), 안코쿠지 에케이(1539~1600)로 모두 다 행주대첩에 참전했던 사람들이다. 이순신은 1592년에 총 4차례 출정을..

최근 원균에 대한 재평가를 하는 분위기가 있는데 원균이 과연 유능한 장군이었는가? (아무리 생각해도 원균은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의 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존재하는 인물인 것 같다) 임진왜란 전에 왜군이 쳐들어오지 않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던 김성일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도 지역에서 군량미를 조달하고 각 진영을 조율하는 초유사로 임명된다. 이때 김성일은 이렇게 보고한다. “도내에 감사가 없으니 모든 적변을 당연히 신이 아뢰어야 합니다. 신이 도내에 있으면서 여러 성이 함락된 사유와 여러 장수들이 패전한 상황을 목격하였는데, 말하는 자는 모두 ‘군졸이 명령을 따르지 않고 적과 대진하지 무너져 흩어졌기 때문에 장수가 속수 무책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신이 본 바로는 좌수사 박홍은 화살 한 개도 쏘지 않고..

조선의 수군은 다음과 같이 편성되어 있다. 왕은 남쪽을 바라보며 정사를 펼친다. 왕의 입장에서 전라도의 오른쪽이 오늘날 전라도의 서쪽이 되고(전라우수영), 왼쪽은 전라도의 동쪽이다(전라좌수영). 마찬가지로 경상우수영은 경상도의 서쪽, 경상좌수영은 경상도의 동쪽이다. 가장 규모가 적은 곳이 ‘전라좌수영’이다. 전라좌수영은 5관 5포로 구성되어 있다. 관할지역에 ‘관’이라 함은 ‘고을’이라고 할 수 있고, ‘포’는 ‘포구ㆍ항만ㆍ기지’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1591년에 전라좌수사로 임명된 이순신의 난중일기를 보면 수시로 5관 5포를 순시하여 전쟁준비가 잘된 고을은 칭찬하고 격려하고 전쟁준비가 덜된 고을은 지적질해서 개선하도록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의 배는 1555년 을묘왜변까지 ‘맹선’이 사용되었다...

이순신은 ‘덕수 이씨’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덕수 이씨의 시조인 이돈수가 고려시대에 거란의 침입 때 출정했던 것으로 보아 무인의 기질을 타고 났다는 말도 있다. (10대조 이양준도 무관이었음) 이순신의 5대조 이변은 홍문관 대제학을 지낸 뛰어난 인재였다. 후에 선조가 유성룡에게 이순신의 집안에 대해서 물어본 적이 있는데 유성룡은 이렇게 대답했다. “성종 때 이거의 증손입니다.” 이 말을 듣고 선조가 금방 알아들었을 정도로 ‘이거’라는 사람은 알려진 사람이었을 것이다. 이순신의 조부 이백록은 당시 임금이었던 중종이 죽었을 때 아들 이정을 결혼시키고 잔치를 베풀어서 곤장을 맞았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덕수 이씨와 초계 변씨는 아주 가까운 집안이었다.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선의 사회는 ‘모계중심사회’였다. 예를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파르타쿠스 시즌 1
- 원균
- 보이스
- 이재명
- 박지원
- 왕좌의 게임
- 구해줘
- 유비
- 오세훈
- 유로 2020
- 보이스 시즌 1
- 언론
- 조성은
- 챔피언스리그
- 이순신
- 기레기
- 박형준
- 스파르타쿠스
- 코파 아메리카 2021
- 고발 사주 의혹
- 킹덤
- 왕좌의 게임 시즌 1
- 홍준표
- 왕조현
- 윤석열
- 장각
- 미드
- 왕좌의 게임 시즌 2
- 이명박
- 고니시 유키나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