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대16]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한반도 중립화론 갑신정변의 실패로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은 일본으로 망명한다. 그리고 남아있던 홍영식은 청나라 군대에 의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이후 조선에서는 ‘개화’라는 말을 함부로 꺼내지 못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갑신정변이 일어나던 해인 1884년 5월, 러시아가 조선과 수교를 맺었다. 러시아의 팽창은 당시 세계가 두려워하는 수준이었다. 베이징조약(1860)으로 연해주를 청에게서 할양받은 러시아는 블라디보스토크(동방을 지배하다)라는 항구를 만들었다. 그런데 이곳은 겨울에는 얼어버리는 항구라서 ‘얼지 않는 항구’(부동항)을 갖기를 원하고 있었다. 러시아의 팽창을 막기 위해 청의 황쭌센이 『조선책략』을 썼고, 이후에 조선은 미국과 수교를 맺기도 했다(..
[영상 & 유투브]/[황현필 한국사]
2021. 6. 25. 09:4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이재명
- 오세훈
- 스파르타쿠스
- 박지원
- 왕좌의 게임 시즌 2
- 이순신
- 보이스 시즌 1
- 윤석열
- 킹덤
- 조성은
- 고니시 유키나가
- 박형준
- 왕조현
- 이명박
- 구해줘
- 언론
- 챔피언스리그
- 원균
- 왕좌의 게임
- 코파 아메리카 2021
- 장각
- 유로 2020
- 고발 사주 의혹
- 유비
- 보이스
- 왕좌의 게임 시즌 1
- 스파르타쿠스 시즌 1
- 홍준표
- 미드
- 기레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