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10] 임진강&대동강 방어전(광해군 분조를 이끌다)-절대순삭ver. │황현필 한국사
본문 바로가기
[영상 & 유투브]/[황현필 한국사]

[임진왜란10] 임진강&대동강 방어전(광해군 분조를 이끌다)-절대순삭ver. │황현필 한국사

by [수호천사] 2021. 3. 31.
반응형

 

 

일본군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면, 서둘러 한양을 점령하고 조선왕을 잡게 되면 전쟁이 빨리 끝날 것이라고 생각하였을 것이다. 일본의 100여년의 전국시대 전쟁의 패턴은 성주가 항복하거나, 할복하면 전쟁이 끝나는 것이었다. (최후까지 항전하면 그 지역은 철저하게 도륙하였으나, 기본적으로 백성들은 전리품으로 생각하고 처음에는 건드리지 않았다) 그리고 성주가 도망친 사례는 거의 없었다.

 

그런데 조선의 왕인 선조는 일본군의 허를 찔러 가장 용감하게 도망쳤다. (이것이 임진왜란에서 선조가 한 가장 뛰어난 활약이었다... 손자병법의 36계 줄행랑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게 가장 충격과 멘붕을 선사했다...) 선조가 도망친 이후에 일본군은 멘붕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한양을 점령한 이후에 곧바로 북진하지 못한 것은 이순신의 등장과 활약으로 보급품이 끊기는 것과 각 지역의 의병들의 저항 때문이었다.

 

413일에 부산에 상륙해서, 한양을 점령하기(53)까지 20일 정도 걸렸는데, 이것은 그야말로 파죽지세의 기세였다. 너무 빨리 한양으로 진격하면서 일본군 스스로 지쳐버렸다. (이후 평양점령까지는 40일이 넘게 걸린다) 실제로 당시 일본군들이 다리를 절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초반 러쉬에 지쳐버린 일본군...

 

 

한양에서 고니시는 평양으로 진격해서 선조를 잡기로 하고, 가토는 함경도로 진격하기로 결정한다. 그런데 일단 임진강은 먼저 가토가 건너게 되었다. 당시에 한양 남쪽의 한강, 개성 남쪽의 임진강, 평양 남쪽의 대동강이 있었다는 것은 북진하는 부대를 막는 하나의 방어선이 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조선에서는 한강을 무능하게 빼앗긴 김명원에게 임진강 방어를 맡기게 된다. 한강을 방어할 때는 도원수였던 김명원은 임진강을 방어할 때에는 ‘8도 도원수가 되어 한응인(1554~1614)과 함께 임진강을 막게 되었다. 이때 임진강을 막는 병력은 북쪽의 강계군(평안북도 의주)에서 충원된 병사들이 합류했기 때문에 15,000명의 병력이 있었다고 한다. 비변사와 선조는 김명원이 나이가 많아서 젊은 한응인에게 가토의 부대를 선제공격하라는 (멍청한) 명령을 내린다. (물론 김명원이 전투에서는 상당히 무능한 인물로 인식이 되지만, 나중에 이순신을 탄핵하는데 앞장서서 이순신을 변호한 사람이고, 칠천량에서 원균이 패하자 다시 이순신을 등용하자고 제안한 사람이 김명원이다)

 

 

당시에 가토는 임진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었다. 왜나햐면 선조가 임진강을 건너 도망치면서 임진강 남쪽의 가옥과 산에 불을 질러서 배를 만들 재료를 다 없애버렸기 때문이다. (선조의 탁월한 판단과 활약?) 가토는 소수 병력만 남기고 철수하는 척하면서 조선군을 유인하였다. 이러한 유인계에 넘어간 한응인이 배를 타고 건너가서 일본군을 공격하게 되고, 매복해 있던 가토의 부대가 등장하여 조선군을 전멸시키고 조선군이 타고 건너왔던 배를 타고 임진강을 건너게 된다.

 

선조는 평양에서 의주로 피난가면서 조정을 둘로 나눈다(분조, 分朝). 이때 세자인 광해군에게 15명의 신하를 주면서 평안북도 강계쪽에서 의병을 모으라고 명한다. 그러나 광해는 적이 있는 남쪽으로 내려가서 각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군량미와 의병을 모았고, 의병장들이 광해군에게 보고하고 민심이 광해군에게 몰리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시기심 많은 선조가 광해군을 더욱 시기하는 계기가 된다) 조선왕조의 왕들 중에서 칼을 들고 전장을 누빈 사람은 태조 이성계와 정종(2) 이방과 정도였고, 임진왜란 당시에 17세의 나이로 광해군이 전장을 누비면서 백성들과 함께 한다.

 

선조는 의주에서 명나라 요동으로 건너가고자 시도한다. 이때 이러한 선조를 말리는 신하들도 많았는데, 선조는 자신이 왕을 하지 않아도 좋다며 하루 빨리 명나라의 땅으로 건너가려고 한다. 이때 명나라의 황제는 만력제(신종, 재위 1572~1620)였는데, 나중에 조선을 구하기 위해서 원군을 보내줘서 조선 후기에는 만력제를 조선의 구세주로 평가하기도 한다(화양서원과 만동묘). 명나라는 처음에 선조를 의심했다. 너무 빨리 한양이 털린 것 때문에 혹시 왜군과 합세하여 명나라를 공격하는 것이 아닌지 알아본 명나라는 선조가 왜군의 앞잡이가 아니라 실제로 피난행렬이라는 것을 확인한다. 그래도 혹시 몰라서 선조에게 진짜로 망명하려면 수행원을 100명 이하로 줄이라고 요청한다. (이건 건너오지 말라는 말)

 

당시에 평양을 지키기 위해서 (대동강을 방어하기 위해) 선정된 인물은 한강과 임진강을 쉽게 왜군에게 넘겨준 김명원이 다시 책임을 지게 되었다. 이때는 윤두수, 이원익이 함께 대동강을 지키게 되었다. 윤두수는 이때 왜군과 담판을 짓기 위해 고니시를 만나러 자청한 인물이다. (고니시는 자신들이 조선을 정벌할 생각이 없으며 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길을 빌려달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원익은 청백리의 대명사로 죽을 때 초가집 한 채만 남겼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이원익은 또한 광해군 때 한백겸과 함께 대동법 시행을 제안한 인물이다.

 

그때 대동강은 폭이 넓은 강이었지만 비가 오지 않아서 조선의 대신들은 비를 오게 해달라고 하늘에 빌기도 했다고 한다. 이때 또 멍청하게 조선의 병사들이 수심이 낮은 곳을 이용해서 도보로 건너가서 일본군을 공격했다가 패하고 도망치면서 도보로 대동강을 건너게 되고, 이것을 본 고니시의 부대는 그곳으로 대동강을 건너게 된다.

 

평양까지 점령한 일본군은 더 이상의 북진을 하지 못한다. 이후 일본군은 여러 이유로 인해서 사기가 저하된다. 우선적으로 이순신의 존재와 선조의 도망이 일본의 멘붕의 원인이 되었고, 이후 의병들의 활약과 명나라의 참전, 게다가 한강 이북의 겨울이 시작되면서 일본군의 사기가 떨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